진먼 포격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먼 포격전은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이 점령한 진먼 섬과 주변 섬들을 공격한 사건이다. 국공 내전에서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후퇴한 후, 중국 본토와 가까운 진먼 섬은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진먼 포격을 통해 미국과 중화민국의 군사적 개입을 최소화하며 타이완을 압박하려 했다. 8월 23일 시작된 포격은 중화민국군의 반격과 미국의 군사적 지원을 불러왔고, 해전과 공중전으로 이어졌다. 미국은 핵무기 사용을 고려했지만 재래식 무기만을 사용했으며, 결국 1958년 12월부터 1979년 미중 수교까지 격일 포격으로 이어졌다. 이 포격전은 47만 발 이상의 포탄이 사용된, 군사사상 최고 밀도의 포격으로 기록되었으며, 포탄은 진먼 식칼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8월 - 1958년 세계 박람회
1958년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는 "더 인간적인 세상을 위한 세계의 평가"라는 주제로 기술 및 과학 발전, 원자력 윤리적 사용을 논하며 4,15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 아토미움과 국가관들을 통해 냉전 시대 문화, 정치적 역학을 반영하고 벨기에령 콩고 구역의 '인간 동물원' 논란을 야기했다.
진먼 포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
관련 분쟁 | 중국 국민당 냉전 |
시기 | 1958년 8월 23일 ~ 1958년 12월 2일 |
장소 | 타이완 해협 |
결과 | 결론 없음 |
영토 | 원상 복귀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중화민국 미국 |
교전국 2 | 중화인민공화국 |
지휘관 | |
중화민국 | 장제스 장징궈 후롄 지싱원 자오자샹 장제 |
미국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네이선 패러것 트와이닝 월리스 M. 비클리 벤저민 O. 데이비스 주니어 롤랜드 N. 스무트 |
중화인민공화국 | 마오쩌둥 펑더화이 예페이 쉬샹첸 |
병력 규모 | |
중화민국 | 192,000명 |
미국 | 해군 및 공군 지원 |
중화인민공화국 | 215,000명 |
피해 규모 | |
중화인민공화국 | 460명 사망 및 부상 둥딩 섬 해전에서 여러 척의 함선 침몰 및 손상 전투기 31기 격추 |
중화민국 | 514명 사망 및 실종, 2,200명 부상 (육군만 440명 사망/실종, 1,911명 부상 포함) 민간인: 80명 사망, 221명 부상 둥딩 섬 해전에서 상륙정 1척 침몰, 전차 상륙함 1척 손상 |
중국어 명칭 | |
중국어 간체 | 八二三炮战 |
중국어 정체 | 八二三炮戰 |
병음 | bā èr sān pào zhàn |
웨이드-자일스 | Pa1-erh4-san1 P'ao4-chan4 |
한국어 번역 | 8.23 포격전 |
다른 이름 | 중국어 간체: 金门炮战 중국어 정체: 金門炮戰 병음: jīn mén páo zhàn 웨이드-자일스: Chin1-mên2 P'ao4-chan4 한국어 번역: 진먼 포격전 |
관련 정보 | |
별칭 | 823 포격전 |
일부 | 국공 내전 |
발발 | 1958년 8월 23일 |
종료 | 1958년 10월 5일 (포격 자체는 1979년 1월 1일 중단) |
위치 | 푸젠 성 진먼 현 |
결과 | 중화민국 방어 성공, 중화민국 국군의 승리 미국과 소련의 압력, 중화민국군의 반격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진먼 섬 점령 계획 포기 |
2. 배경
한국 전쟁이 정전협정 체결로 마무리되자 중화인민공화국은 1950년대 중반, 동남부 연안에 잉샤(鹰厦)철도와 절민(浙闽), 감민(赣闽)、월민(粤闽) 군사도로를 건설하고, 푸저우시(福州), 푸톈 시(莆田), 장저우 시(漳州), 진장 시(晋江), 후이안 현(惠安), 롄청 현(连城) 등에 비행장을 건설하였다. 1956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미그-17 전투기를 면허생산한 섬격 5형(歼撃五型)의 시험비행에 성공하여, 지상군 전력에 비해 크게 약했던 공군력을 증강시켰다.[1]
1958년 8월 23일 중국 인민해방군의 포격 개시 이후, 중화민국군은 반격에 나섰고, 미국은 제7함대를 파견하여 중화민국을 지원했다. 양측은 해전과 공중전을 벌였으며, 미국은 핵무기 사용까지 검토했으나, 소련의 경고와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반대로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다.
1958년 7월, 이라크 왕국에서 혁명이 발생하여 왕정이 전복되었고, 영미 양국 정부는 즉시 레바논과 요르단에 파병하여 중동지역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동 인민의 반침략주의 전쟁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타이완 해협의 연안 병력을 확충하고 중화민국의 진먼 섬과 마쭈 열도를 공격할 준비를 하였다. 이에 중화민국도 8월 15일에 진마 지구(金馬地區)에 전투준비를 명령하였다.[1]
이 분쟁은 국공 내전과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중화민국은 진먼섬과 마쭈 열도에 군사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중국 인민해방군은 진먼섬과 인근 마쭈 열도에 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2]
1956년, 중국 인민 해방군은 소련으로부터 미그 17의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한 젠지 5형의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이는 노스아메리칸F-86, F-84등 미국 장비를 도입하여 근대화를 진행하는 중화민국군에 대항하기 위한 군비 확충의 일환이었다. 한편 중화민국도 1955년에 미국-중화민국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고 미국으로부터 최신 장비를 도입하였으며, 주중 미군이 주둔하고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마타도어 순항 미사일이 배치되었다.[4]
중화인민공화국의 작전 목적은 미국-중화민국 상호 방위 조약 및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아이젠하워 독트린 적용 범위가 타이완 본섬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에 있는 진먼 섬에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중화민국과 미국의 정책에 모순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미군의 항공기나 함정은 공격하지 않았고, 반대로 공격받더라도 반격하지 않는다는 교전 규칙이 정해졌으며, 전선의 부대는 중앙의 강력한 통제하에 작전을 수행했다.[6]
3. 경과
1958년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은 포격을 일시 중단했고, 이후 '격일 포격'으로 전환했다. 1979년 미중 국교 수립까지 포격전은 간헐적으로 이어졌다.
3. 1. 포격 개시
1958년 8월 23일 오후 6시, 중국 인민해방군은 다진먼(大金門) 섬과 샤오진먼(小金門) 섬에 459문의 화포를 동원하여 대규모 포격을 개시했다.[1] 2시간 만에 4만 발, 하루 만에 5만 7천 발의 포탄이 사용되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화민국 국군의 중앙지휘소, 관측소, 교통기관, 포병진지를 목표로 공격하여 중화민국 측에서 44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포격으로 진먼방위사령부 부사령관 지싱원(吉星文), 자오자샹(趙家驤), 장제(章傑)가 전사했고, 참모장 류밍쿠이(劉明奎)와 진먼 시찰 중이던 국방부장 위다웨이(兪大維)는 부상을 입었다.[1]
3. 2. 중화민국의 반격과 미국의 개입
1958년 8월 24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진먼의 탄두진지, 랴오뤄 만(料羅灣) 부두, 진먼 공항 및 포병 진지에 대해 포격을 집중하였다. 이에 대해 중화민국군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포병 진지에 반격을 개시하였다.[6][7][8][9] 인민해방군은 항만과 공항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며 진먼 봉쇄를 시도했지만, 중화민국군의 강력한 반격에 실패했다.
진먼 봉쇄 작전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 미국은 제7함대의 항공모함 7척(행콕, 렉싱턴, 샹그릴라, 프린스턴, 미드웨이, 베닝턴, 에식스)[24]를 타이완 해협 주변에 파견하여 중화민국군에 대한 물자 보급을 지원하는 동시에, 공군, 해병대, 육군의 3군에 의한 공동 훈련을 실시하여 인민해방군 측에 경고했다.
더욱이 미국은 최신예기인 록히드F-104A 전투기 등을 타이완에 급파하고, 작전 지휘 센터를 설립하는 등 지원책을 실시했다.
3. 3. 해전과 공중전
1958년 8월 24일 이후, 중화민국군은 진먼에 해상 보급을 유지하기 위해 야간 보급 작전을 실시하였으나, 중국 인민해방군은 어뢰정 등을 동원하여 이를 저지하려 하였다. 9월 1일 펑후 제도의 마궁 시에서 출항한 중화민국군 보급함이 다음날 랴오뤄 만(料羅灣)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함정과 맞닥뜨려 九二海戰|9.2 해전중국어이라 불리는 전투가 발생하였다.[1] 중화민국 측은 이 전투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함정 10여 척이 격침되었다고 발표하였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충돌에 의해 2척이 침몰하였고 보급함 타강호(沱江号)에 큰 피해를 입혔다고 발표하였다.[1] 대체로 중화민국 측이 우세하였다.
공중전에서는 미국이 제공한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한 중화민국 공군이 우위를 점하였다.[1] 사이드와인더 미사일은 최초로 실전에서 사용되어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MiG-17 전투기 등을 격추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1] 비밀 작전을 통해, 미국 해군은 국민당 공군의 F-86 세이버 전투기에 새로 개발된 초기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했다.[1] 1958년 9월 24일, 32대의 중화민국 F-86이 100대의 PLAAF MiG와 공중전에서 맞붙으면서 사이드와인더 미사일이 공대공 전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1] 10월에는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전투기 간의 더 많은 공중전이 벌어졌으며 위기 동안 총 항공기 사상자는 31대의 중화인민공화국 MiG 격추와 2대의 중화민국 F-86 격추였다.[1][15][16]
3. 4. 핵무기 사용 논의
미국 정부는 중화민국에 진먼과 마쭈 열도는 미국ㆍ중화민국 공동방위조약에 명시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진먼 섬의 포기를 요구하였지만, 장제스는 이를 거부하였다. 미국은 사태 해결을 위해 제3국을 통해서 진먼 방위 전투에 전술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시사하였다.[5]
모턴 할페린이 1966년에 정리한 문서에 따르면,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이었던 네이선 파라가트 트와이닝 공군 대장은 아모이 주변의 몇몇 공군 기지를 10~15킬로톤의 소형 핵폭탄으로 공격하고, 그래도 침공을 저지할 수 없다면 상하이 등 중화인민공화국 북부까지 핵 공격을 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고 주장했다.[25]
소련 공산당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은 '미ㆍ소간의 핵공격을 촉발하지 말라'고 중화인민공화국에 경고했다.[5] 이 진먼다오 전투로 인해 흐루쇼프는 모험주의적인 행동을 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핵 보유는 핵 전쟁을 유발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핵무기 개발을 위한 기술 공여를 중단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핵무기 사용을 승인하지 않았고, 통상 병기의 사용만을 허가했다.[25]
3. 5. 전투 종식과 격일 포격
1958년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펑더화이는 '인도주의적인 견지'에서 진먼 섬에 대한 포격을 7일간 중지한다고 발표했다.[19] 그는 중화민국 군의 선박 보급을 허가했지만, 미국의 호위는 내정 간섭이라며 조건으로 내걸었다. 10월 13일에는 2주간의 공격 중지를 발표하며, 적극적인 공격을 멈추고 소강 국면으로 전환되었다.[19] 10월 28일,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하루씩 걸러 포격한다'고 발표하였고, 포격은 점차 줄어들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포탄 부족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며 교착 상태에 빠졌다.[1] 1958년 12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군대는 1979년까지 지속된 격일 포격 기간을 정착시켰고, 이로써 전반적인 위기는 종료되었다.[1] 이 기간은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외교 관계를 수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양측 군대는 정확히 어떤 날, 어떤 시간, 그리고 어떤 지역이 포탄에 의해 공격받을지(군사 기지 및 포병 진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신사 협정 덕분에 벙커에 숨어 부상으로부터 안전했다.[1][17]
1960년 6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타이베이 방문 동안 중화인민공화국군은 며칠 만에 10만 발 이상의 포탄을 진먼에 발사하여 중화민국 군인 7명을 사망시키고 59명을 부상시켰으며, 민간인 6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20] 이 포격으로 진먼의 주택 200채, 학교 5개, 병원 1개가 피해를 입었다.[20]
1979년 1월 1일, 미중 국교 수립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장 쉬샹첸은 '대ㆍ소 진먼도 등의 도서에 대한 포격전 중지 성명'을 발표하며 20여 년에 걸친 포격전은 마침내 멈추게 되었다.
4. 영향
진먼 포격전에는 47만 발이 넘는 포탄이 사용되어 전사(戰史)상 최고의 착탄밀도(著彈密度)가 기록되었다. 포격에 사용된 포탄의 탄피는 매우 단단한 강철로 만들어졌는데, 진먼 섬 주민들은 이 포탄들을 재활용하여 식칼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는 현재까지도 진먼을 대표하는 특산품이 되었다.[1][2] 특히 진먼 식칼(金門菜刀)은 진먼을 대표하는 명산품으로 꼽힌다.
5. 이후
냉전 붕괴 이후 양안 간의 긴장이 완화되고 삼통 정책이 도입되면서, 진먼섬에는 양측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대만 뿐만 아니라 중국 관광객도 많이 방문하는 관광지가 되어 인민폐가 유통되고 상점가에는 중화민국 국기와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도 게양되어 있다.[26]。중국 측에서 상수도를 공급하는 해저 파이프라인도 개통되었으며[27], 진먼 현 정부는 일국양제를 환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8]。
참조
[1]
웹사이트
The Meaning of the Taiwan Strait Crisis
https://www.airforce[...]
2021-09-26
[2]
웹사이트
Anniversaire de la bataille de Kinmen : l'Unité nationale au cœur de la défense de Taiwan, selon Tsai Ing-wen
https://taiwaninfo.n[...]
2021-08-24
[3]
서적
Maritime Taiwan: Historical Encounters with the East and the West
2009
[4]
웹사이트
zh:教育部重編國語辭典修訂本
http://dict.revised.[...]
[5]
서적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archive.org/[...]
1966-12
[6]
서적
TAIWAN STRAITS
https://archive.org/[...]
CIA
1958-08-27
[7]
서적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_ A Documented History
https://archive.org/[...]
1975
[8]
서적
DTIC ADA234362: Use of Naval Force in Crises: A Theory of Stratified Crisis Interaction. Volume 2
https://archive.org/[...]
1988-12
[9]
서적
1958 Awake
https://archive.org/[...]
1958-10-08
[10]
웹사이트
zh:八二三砲戰60週年(四)824海戰 東碇島曾開火
https://www.ettoday.[...]
2018-08-22
[11]
서적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archive.org/[...]
1966-12
[12]
서적
F-104 Starfighter Units in Combat
Osprey Publishing
[13]
간행물
Republic of China Marine Corps
https://books.google[...]
Marine Corps Association
1966-11
[14]
서적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archive.org/[...]
1966-12
[15]
웹사이트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www.rand.org[...]
2021-09-26
[16]
영상매체
Sidewinder AIM-9
http://www.ewarbirds[...]
US Naval Academy
[17]
간행물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www.rand.org[...]
1966-01
[18]
문서
SSgt. B Tharp, VMF(AW)531
[19]
Wikidata
[20]
웹사이트
Taiwan in Time: Greeting by artillery fire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9-06-16
[21]
웹사이트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1996-12
[22]
웹사이트
zh:823祭拜先烈 總統蔡英文:勿忘823精神
https://www.kmdn.gov[...]
2019-08-24
[23]
서적
The 1958 Taiwan Straits Crisis: A Documented History
https://archive.org/[...]
1966-12
[24]
웹사이트
USE OF NAVAL FORCE IN CRISES: A THEORY OF STRATIFIED CRISIS INTERACTION
https://apps.dtic.mi[...]
[25]
뉴스
1958年の台湾危機で沖縄への報復攻撃を容認「米軍の共通認識だった」 元米高官ハルペリン氏が明らかに
https://www.okinawat[...]
2021-05-31
[26]
뉴스
台湾なのに…人民元が流通、中国旗はためく島
https://www.asahi.co[...]
2018-09-13
[27]
뉴스
中台間に送水管開設 金門島、民意取り込み
https://www.sankei.c[...]
2018-08-05
[28]
뉴스
大陸委、親中姿勢の金門県副県長を批判/台湾
https://web.archive.[...]
2018-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